
(사진 설명 : 25일 언론브리핑을 하고 있는 육동한 춘천시장.춘천시(c))
춘천시가 ‘기업혁신파크 선도사업’의 통합개발계획안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하며 사업이 본격적인 국가 심사 단계에 들어갔다. 미래 신산업 중심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프로젝트가 구체화 국면에 진입했다는 평가다.
춘천시는 지난 24일 국토부에 계획안을 제출했고, 이에 따라 국가 승인 절차가 공식 시작됐다. 국토부는 사업의 구조와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게 되며, 승인 절차 완료 시 사업구역 지정, 토지보상, 기반시설 공사 등 후속 단계가 이어진다. 시는 2026년 승인 완료, 2027년 착공, 2033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25일 시청 브리핑에서 “사업의 안정성은 이미 확보됐다”며 현황을 설명했다. 이날 브리핑에는 사업의 앵커기업인 ㈜더존비즈온 김용찬 대표도 참석해 협력 의지를 재확인했다.
기업혁신파크는 지난해 3월 국토부 선도사업으로 선정된 이후 주민 의견 수렴, 관계기관 협의, 환경평가 준비 등 법적 절차를 충실히 이행해 왔다. 이번 계획안 제출은 지난 9월 PFV(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설립 이후 신속하게 진행된 결과로, 공청회와 주민설명회 등 남은 과정도 투명하게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춘천 기업혁신파크 조성사업’은 남산면 광판리 산 68번지 일원 363만㎡(약 110만 평) 부지에 총 1조1,031억 원이 투입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춘천시는 IT·AI·정밀의료 등 첨단산업을 집중 유치해 기존 바이오산업 성공모델을 더욱 확장하고, 주거·교육·의료·문화·업무 등 복합 기능을 갖춘 자족형 기업도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판교를 뛰어넘는 첨단산업 클러스터”를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특히 더존비즈온은 최근 지분 변동 상황에서도 참여 의지를 굳건히 유지하고 있다. 시는 더존비즈온이 보유한 정밀의료 및 생체데이터 플랫폼을 바탕으로 AI 의료서비스를 선도하고, 지역 산업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춘천시는 기업혁신파크의 성공적인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회발전특구 지정도 중점 추진 중이다. 특구로 지정될 경우 규제 혁신, 세제 혜택, 투자 유치 지원 등 국가 차원의 폭넓은 지원이 가능해져 사업 속도가 크게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강원특별자치도와 협력해 조기 지정을 목표로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육 시장은 “국가 승인 절차에 돌입한 만큼 사업 추진에 대한 우려는 접어도 좋다”며 “춘천의 미래산업 경쟁력 강화와 청년 일자리 창출,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반드시 성공시키겠다”고 강조했다.(춘천신문=최용락 기자)